문제 해결한 김에 정리;;

리눅스를 잘 쓰다가 어느날 껐다 켰을 때 아래와 같은 에러가 났을 경우,

"Nautilus can't be used now, due to an unexpected error from Bonobo when attempting to locate the factory, killing bonobo-activation-server and restarting Nautilus may help fix the problem"

생각해 볼 수 있는 문제점은
1. 최근에 하드웨어를 교체했거나 드라이버를 업데이트한 경우 (특히 그래픽 드라이버;;)
2. CMOS bios가 리셋이 된 경우

이번 경우에는 cmos 배터리가 다 닳아서 생긴 문제.
(처음 부팅할 때 date설정에 문제있다는 메세지가 떠있어서 금방 알기는 함;;)

처음에는 X11관련 문제인줄 알고, /var/log를 봐도 딱히 큰 문제점을 발견하지 못해서
구글신에게 에러 메세지 넣고 질문.

bonobo가 뭔지 몰라서 배터리 문제와 연결시켜 생각 못하다가 다음 링크글 읽고 나서야 확신.
http://fedoraforum.org/forum/showthread.php?t=181986

애플 파워북에 페도라를 깐 경우라서 처음에는 눈여겨 보지는 않았는데, 댓글중에
"If it's before Jan 1st 1970, then bonobo will fail." 라는 말에 문제원인을 확신.

리눅스에 문제 생겼을 때 아는 거 다 해봐도 안될 땐,
언제나 하드웨어에 문제가 있다는 걸 다시금 깨달음;;;
(리눅스 깔아쓰면 보통 너무 오래 쓰다 보니;;;)


설정

트랙백

댓글

방법은 cyana wiki에서 참조
http://www.cyana.org/wiki/index.php/How_to_extend_the_licensing_period_for_CYANA_2.1%3F

cyana 2.1을 2010년까지 잘 사용하다가 2011년부터 문제를 겪는 사람들을 위해 작성.
(좀 벌써 4월이니 좀 늦은 감이 있긴 하지만;; 해결한지는 좀 되는데, 글쓰는 걸 까먹어서 이제서야 포스팅)

(예를 들면 2010년까지는 " *** WARNING: License expires in 142 days. " 같은 에러가 나도 꿋꿋이 쓰다가, 2011년부터 갑자기 에러만 나고 실행 안되는 경우)
##############################################################

## cyana2.1을 컴파일 할때는 32bit OS에서 컴파일해야함!!
단, 32bit OS에서 컴파일된 binary화일은 64bit OS에서 사용가능하니
64bit OS에서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다른 32bit OS 에서 컴파일한 후 가져와서 사용하면 됨

1. 일단 re-compile을 해야 하므로 source file이 있어야 함.

2. source 디렉토리에서 "cyana-2.1/src/inclan/unix.for " 을 텍스트 에디터로 수정해야 함
ex> vi cyana-2.1/src/inclan/unix.for

3. unix.for 화일 아래쪽으로 내려서 보게 되면

iexpir=(julday(12,31,2010)-julday(1,1,1970))*24*3600

이라는 부분을 보면 2010년 12월 31일까지만 사용할 수 있게 설정이 되어있으니
이 부분을 수정해야 함.

만일, 2020년 8월 15일까지 연장하고 싶으면

==>
iexpir=(julday(8,15,2020)-julday(1,1,1970))*24*3600
<==
이런식으로 수정하면 됨 

4. 이제 다시 compile을 하면 됨.
source화일이 있는 디렉토리(README화일이 있는 곳)로 올라가서 [ex) cd ../../]
make recompile
를 치면 됨.

만일 그냥 처음부터 compile하고 싶으면
make clean
make
make install 을 하면 됨.

5. PATH를 설정하든, alias를 하든, symbolic link를 걸든
이전에 사용하던대로 사용하면 ok.


주의 사항.
1. cyana를 컴파일 하려면,ifort가 필요함. centOS같이 미리 f77이 설치되어있지 않다면
우분투나 페도라에서는 미리 intel fortran compiler 평가판(한달간 사용가능)을
인텔 홈피에서 받아서 설치후 사용하면 됨

2. 64비트 fedora 12에서 32bit intel fortran compiler로 컴파일해도
에러가 나는 것으로 보아, 64bit OS에서 컴파일 자체가 안되는 것으로 보임.


설정

트랙백

댓글

지금 있는 곳이 이름이 있는 곳인 만큼....
해킹시도가 너무 많기 때문에 미리미리 대비해 놓아야 하는데 그럴때 쓰는 프로그램.

1. fail2ban에 관한 간단한 소개
http://monac.egloos.com/1484326
2. 중국발 해킹시도에 대한 대처 방법들
http://kldp.org/node/73105
3. fail2ban설치부터 설정까지
http://gentoo-wiki.com/HOWTO_fail2ban

4. 다음과 같은 에러가 났을 때 대처 방법
--------------------------------------------
ERROR  Unable to create PID file: [Errno 2] No such file or directory: '/var/run/fail2ban/fail2ban.pid'
----------------------------------------------
http://forum.ubuntu-fr.org/viewtopic.php?pid=1689908
(프랑스어로 되어있으니 구글번역기 돌려서 읽으면 됨)
간단하게 정리하면
#mkdir /var/run/fail2ban
#chmod 755 /var/run/fail2ban
임.

5. fail2ban 다운로드 페이지
http://www.fail2ban.org/wiki/index.php/Downloads

설정

트랙백

댓글

1. 먼저 정상적인 설치후 화면이 깨지는 걸 확인
2. single mode 로 부팅을 해야 함.
--> a. 리부팅을 한후 화면이 한 번 번쩍하고 난후 아무키나 누르라는 메세지가 뜨면
b. 아무키나 눌러 grub화면이 뜨게 하고 거기서
"Red Hat Enterprise Linux WS (2.6.9-5.ELsmp)"로 커서를 이동(enter를 누르면 안됨)
c. a를 누르면 편집이 가능해짐
다음과 같은 메세지가 나오는 걸 확인한다.
greb append>ro root=/dev/VolGroup00/LogVoL00 rhgb quiet
문장 맨 끝에 한 칸 띄우고 "-s"를 적어준다.("single"을 적어줘도 된다.)
d. enter를 친다.

3. Supplement Dell 380N CD를 CD롬에 넣는다.
4. sh-3.00 # 가 뜨면
mount /dev/cdrom /media
cd media
ls
./pkgsetup
5. 설치가 끝날때까지 기다릴 것
6. sh-3.00 #에서
cd
umount media
eject
reboot


3번에서 시디가 없을 때
3. 윈도우 컴퓨터에서 usb에 그래픽 드라이버를 받는다.
http://ftp.us.dell.com/video/dell-nvidia-7676-multiarch-1.tar.gz
(적당히 최신 그래픽 드라이버를 받아도 됨)
4. 리눅스가 깔린 컴퓨터에 usb를 연결한다.
5. #Fdisk -l 로 USB device를 확인 후
#mount /dev/sdb1 /media/usb
6. 하드로 카피를 한다.
#cp /media/usb/dell-nvidia-7676-multiarch-1.tar.gz /opt
7. 압축을 푼다.
# cd /opt
# tar -zxvf dell-nvidia-7676-multiarch-1.tar.gz
8. 디렉토리에 풀린 화일을 확인
# cd /opt/dell-nvidia-7676-multiarch-1-1
#ls -l
9. dkms설치
# rpm -Uvh dkms-2.0.5-1.noarch.rpm
10. 드라이버 설치
# rpm -Uvh nvidia-7676-1dkms.x86_64.rpm
11.
#up2date --register
12.
#up2date xorg-x11
13. 리부팅한다.
14. 기본은 800X600인데, System tools-> Display에서 모니터를 Generic LCD로 맞추고 해상도 조절하면 된다.

설정

트랙백

댓글